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종종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깨끗한 IP를 써야한다, 황금 IP로 글을 작성하면 상위노출이 쉽다. IP를 계속 바꿔가며 글을 작성하면 저품질이 된다는 말까지 있습니다. 과연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IP가 중요할까요?
IP란?
Internet Protocol의 줄임말로 12개의 숫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가령 210.113.139.224 이런식입니다. 인터넷판 주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IP 주장이 나온 곳는?
위 같은 주장은 16년까지 활발하게 있었습니다. VPN을 이용해서 고정 아이피를 만들어둬야한다는 식으로 말입니다. 이런 주장은 블로그를 여러개 운영하는, 또는 지식인, 카페 등등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는 업체들에게서 나온 것 입니다.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기에 같은 아이피에서 여러 아이디를 작업하면 문제가 될 여지가 다분히 있긴 합니다. 그래서 나온 것이 '한 아이피에서 여러 계정을 운영하면 아무래도 노출 면에서 불이익이 있지 않겠냐' 하는 주장입니다.
개인 블로그라면 신경 쓸 필요 없다.
자신이 블로그 한 개만 운영하는 입장이라면 전혀 신경 쓸 문제가 아닙니다. 요즘은 집에서만 글을 발행하지 않고 카페에 있을 때나 해외에 놀러가서, 스마트폰으로도 많이 쓰기 때문입니다. 특히 스마트폰으로 글을 작성하는 비율은 갈 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PC를 추월한지는 꽤 됐습니다.
다음은 네이버 블로그가 공식적으로 답변한 내용입니다.
만약 IP가 블로그에 영향을 준다면 큰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스마트폰에서 글을 작성하는 사람들입니다. 스마트폰은 데이터를 껐다 킬때마다 IP가 바뀝니다. 고정 MAC주소로 아이피를 부여받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물론 PC에서도 IP주소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합니다만 스마트폰처럼 쉽게 바꿀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네이버 입장에서는 스마트편집기 도입으로 한창 스마트폰 편의를 높이기 위해 노력중인데 아이피가 문제가 될리가 없습니다.
전문 업체라면 신경 쓸 필요는 있다.
대량의 블로그 작업을 하는 분들이라면 신경 쓸 필요가 있니다. IP고정문제를 주장하는 분들의 진짜 이유는 클린 아이피 때문입니다.
즉, 네이버 지식인 등에서 정책위반 등으로 아이피 차단을 받은 사례가 있습니다. 그 아이피를 계속 사용하자 다른 채널도 문제가 있었다고 합니다. 네이버 입장에서도 불법 작업을 하는 아이피는 꺼려질 것 같습니다.
그래서 지금 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방식은 테더링 방식입니다. 스마트폰에 데이터 테더링을 키고 접속해서 작업하는 것을 말합니다.
결론적으로, IP는 블로그 운영에 영향을 주기도, 안주기도 한다입니다.
개인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은 전혀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오래전에 네이버 공식답변으로 논란이 풀린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추가적으로 네이버 공식 블로그나 검색 블로그를 뒤져보면 도움이 될 만한 글이 많이 있으니 찾아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블로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블로그 저품질 탈출기 2 : 탈출 방법과 사례 (3) | 2020.03.08 |
---|---|
네이버 블로그 저품질 탈출기 1 : 저품질에 빠지는 원인과 프로세스 (0) | 2020.03.07 |
네이버 광고시스템 이용하기 2 : 광고 단가 조회방법 (1) | 2020.03.06 |
네이버 광고시스템 이용하기 1 : 가입 방법 (0) | 2020.03.06 |
애드포스트 본문광고 배너 추가 수익금 공개! (0) | 2020.03.05 |
댓글